Data Science/KDT

[KDT] 내 거친 성적과 불안한 공교육💦 : 대한민국 사교육 환경 변화와 원인 분석

나는 정은 2022. 10. 27. 17:48
 

[MID_9조] 내 거친 성적과 불안한 공교육🥲

💦내 거친 성적과 불안한 공교육과악 💦

canary-beryl-218.notion.site

🦁 LikeLion AIS7 MID PROJECT

멋쟁이 사자처럼 AIS7 미드프로젝트 : 공공데이터 수집 및 EDA
프로젝트 기간 : 2022-10-17 ~ 2022-10-23

 

내 거친 성적과 불안한 공교육과악💦

분석 주제 : 초중등 시험 폐지 이후 대한민국 사교육 환경 변화와 원인 분석

활용데이터 셋 출처

KOSIS
서울시열린데이터광장
대한민국 청소년 학업성취도 평가 지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교육통계서비스(KESS)

📈 Team Report

🔽LINK

🔗 GITHUB : https://github.com/wumusill/Structure
🔗 EDA CODE : https://nbviewer.org/github/wumusill/Structure/blob/main/Structure_EDA.ipynb
🔗 NOTION: https://canary-beryl-218.notion.site/MID_9-9f2b50c7238a4edca1fc07a2dc95f7a9
🔗 DASH BOARD : https://ljedd2-midp-streamlit-intro-kizzcq.streamlitapp.com/
* link가 열리지 않을 경우 댓글 한번만 달아주세요

EDA Code

Streamlit Dashboard Code

 

GitHub - LJEDD2/MIDP_Streamlit: 멋쟁이사자처럼 AIS7 미드프로젝트 결과물 대시보드 시각화

멋쟁이사자처럼 AIS7 미드프로젝트 결과물 대시보드 시각화. Contribute to LJEDD2/MIDP_Streamli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 미드 프로젝트 회고

으쌰 1팀 9조 조장을 맡아 전반적인 팀 프로젝트 진행 상항과 일정을 관리하게 되었다.

팀 결성 초반에는 나 빼고 전부 I라 다 낯을 가리셔서 다가가기가 어려웠었는데

열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고 회고때마다 열심히 말 걸어서 마지막에는 서로 드립 칠 정도로 많이 친해졌다 !!

그리고 이번주 미드 프로젝트를 아주 완벽하게 마무리하고 팀 활동도 끝났다 !

 

계획서에 “잠은 죽어서 잔다” 라는 다짐을 쓰고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말이 씨가 된다고

진짜 밥 먹는 시간 빼고 모든 시간을 투자해서 몰입할 수 있었던 첫 대형 프로젝트였다!

 

프로젝트 초반에는 주제도 뒤집고 고민하는 시간이 많았었는데 각자 다른 분야에서 능통한 팀원분들 덕분에

노션으로 프로젝트 관리도 해보고, 대화형 시각화도 구현해보고, 깃허브로 (처음) 협업이라는 것도 해보고, 갓벽한 PPT로 결론까지 완벽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우리 구조 팀원분들이 정말 대단했다

조용한 능력자분들이셨음 ... ㅋㅋㅋㅋ

 

다들 수줍음 많고 낯을 많이 가리셔서 그렇지 말 안해도 알아서 (잘) (딱) 깔끔하게 센스있게 각자의 자리에서 묵묵히결과물을 뿅 하고 만들어내는 것 보고 존경심을 느꼈다.

각자 주어진 과제를 완벽히 수행하고 완벽하게 정리해서 서로의 의견을 공유할 수 있었던 소중한 경험이었다!

커뮤니케이션 부분에 있어서는 진짜 완벽에 가까웠다고 생각 👍

 

1주일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프로젝트를 하면서 다양한 시각화 툴을 사용하여 그래프를 그려볼 수 있다는 게 재미있었고

Streamlit App이라는 서비스를 사용해서 대시보드 웹 페이지를 하나 만들어 배포까지 마무리했다는 것이 만족스러웠다

뭐니뭐니해도 부트캠프라는 과정 속에서 팀원들끼리 소회의실에 옹기종기 모여서 10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함께 코딩하고 의견을 공유할 수 있었던 시간이 제일 좋았다 🦁

할 수 있는 부분에 최선을 다하자 라는 멘토님의 조언 그대로 "욕심부리지 않고 할 수 있는 부분을 완벽히 끝내자" 라는 목표를 두었고 마무리까지 잘 해내서 뿌듯하다 💯

 

미드프로젝트 주제를 구상할 때, 대시보드를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다.

우리팀의 경우, 미니프로젝트때부터 이 주제로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 라는 질문에 진행이 잠시 멈추는 일도 있었는데

멘토님께 피드백을 받아 가설 몇 가지를 조금 세워두고 프로젝트를 시작했더니 각자 다른 서브 주제로 분석을 하면서도 어느 정도 데이터 해석의 방향성이 보였다.

 

팀원 모두가 통계학, 교육학 관련 전공자가 아니었어서 결론을 확실하게 내지는 못했던 부분이 조금 아쉽고,

streamlit 페이지의 folium 시각화 렌더링 속도가 오래 걸리는 문제를 기간 내에 해결하지 못한게 아쉬웠다.

이 부분은 향후 개선점으로 남겨두고 지속적으로 고쳐나갈 예정이다 !

 

그래도 가설을 설정하고 그에 맞는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면서 우리팀의 생각과 그래프가 나타내는 바가 동일한지를 검증하는 과정을 경험해봤다는 것에 의미가 있었던 첫 대형프로젝트였다 !!

고생한 우리 구조 최고 짱짱짱

 

이제 또 뉴페이스들이랑 고생해봐야지 🤩